중국 의료기기산업 발전 현황(KOTRA)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15회 작성일 16-07-08 14:18본문
중국 의료기계산업 발전 현황
- 중·하급 의료기관 시장 잠재력 커 -
- 가정용 재활치료기기, 원격 의료서비스 수요도 급증 -
□ 개요
○ 의료기계(醫療機器, Medical Instrument)란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인체에 사용되는 계기, 설비기구, 체외진단시제, 재료 및 설비 관련 기타 물품을 말하며 설비에 필요한 컴퓨터 소프트웨어까지 포함함. 약학(藥學, Pharmacy), 면역학(免疫學, Immunology) 또는 신진대사의 수단을 체내 또는 체표에서 사용하지 않지만 기능을 보조하기 위해 이러한 수단을 사용하며, 사용 목적은 질병이나 장애의 진단·예방·조정·치료·경감에 있음.
○ 산업 특징
- 의료기계는 지식·자금·과학이 밀집된 글로벌화, 혁신화의 산업으로, 도전성과 성장성이 강하며 세계적으로도 기술발전이 가장 활발한 영역임. IT와 바이오 의약의 뒤를 이어 국민생활에 직접 관련된 고속 발전 중인 유망산업이며, 그 발전수준은 한 나라와 지역의 첨단기술 종합 실력을 대표함.
□ 의료기계산업 시장규모
○ 전국 의료기관 수량
- 2015년 5월까지 전국 의료기관은 98만7000개에 달함. 그 중 병원은 2만6000개, 중·하급 의료기관은 92만2000개, 공공위생기구는 3만5000개, 기타 의료기관은 3000개에 달함. 2014년 대비, 전국 의료 위생기구는 6804개 증가함.
- 병원 중 국립병원은 1만3326개(51%), 민영병원은 1만3153개임(49%).
- 중·하급 의료기관 중 동네의료서비스센터(社??生服?中心) 3만4000개, 향(?) 보건소 3만7000개, 촌 보건소 64만6000개, 클리닉 19만2000개임.
○ 중·하급 의료기관 의료설비 보유 현황
- 중·하급 의료기관의 의료설비는 평균 30~50% 부족할 뿐만 아니라 기존 설비 중 15%는 1970년대 전후의 제품이고, 60%는 1980년대 중반 제품으로 중저가 의료설비의 교체 수요가 큰 편임.
□ 시사점 및 무역관 의견
○ 반드시 의료기계등록증을 취득해야 수출 및 판매 가능
- 의료기계등록이란, 중국 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서 법률적 절차로 시중에 유통 판매하려는 의료기계의 안전성과 유효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평가해 판매 및 사용 가능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말함. 의료기계등록증은 합법적으로 중국에서 유통·사용할 수 있는 신분증임.
- 의료기계등록은 국내의료기계등록과 해외 의료기계등록으로 나뉨. 중국 내 의료기계일 경우, 1·2류의 의료기계는 현지 성 혹은 시의 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 신청하고, 3급은 국가식품약품관리국에 신청함. 해외 의료기계는 1·2·3류 모두 베이징에 있는 국가식품약품관리국에 신청해야 함.
의료기계등록증 샘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