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의료기기 시장 진출방안(KOTRA)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댓글 0건 조회 676회 작성일 16-06-09 02:24본문
요르단 의료기기 시장 진출방안
- 의료기기 품질 요구사항 까다로워 -
- 중동 의료관광 강국으로, 요르단 수출 시 주변국 진출에도 긍정적 효과 기대
-
□ 시장 개요 및 특징
○ 시장규모
- 2014년 기준, 관련 수입액은 약 2억1700만 달러에 이름(요르단 통계청
자료).
- 주요 수입품목: 사진·영상 촬영기기(X-ray, CT, MRI 등), 시약 및
실험장비, 심장 및 신장투석 관련 장비, 수술도구(성형수술 포함), 병원운영장비(카트, 집기류 등), 정형외과 관련 장비(의족, 의치 등의
인공기관 포함), 기타 의학 소모품 등
- 요르단 보건부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요르단은 병원 109개, 병상
1만2041개, 약국 2298개 규모의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 시장 특징
- MENA 지역 최대의 의료관광국으로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만큼 의료기기 품질
진입장벽이 높은 편
- 의료산업 발전 붐에 따라 의료-IT융합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으며, 특히
e-Healthcare 제품, 의료기기, 병원투자 분야 등에서 시장진출 기회가 있음.
- 주요 수입국: 미국, 유럽 주요국(독일·아일랜드·스위스 등), 일본, 호주,
한국 등
□ 한국산 제품 수출 현황
○ 2013~2015년 꾸준한 수출 증가 추세
- 특히 2014년에는 전년대비 59% 증가 추세를 보임.
- 주요 수출품목으로는 사진·영상 촬영기기, 초음파 영상진단기, 치과용 장비 등이
있음.
□ 대요르단 진출 시 참고 사항
○ 의료기기 등록
- 대요르단 의료기기 수출을 위해서 현지 등록은 필수 절차
- 등록처: JFDA(Jordan FDA)
- 등록 필수서류: CE 또는 FDA 또는 FSC 중 1가지(제품 종류에 따라
달라짐)
- 등록 대리인: 현지 에이전트를 등록 및 판매권자로 지정해야 함(직수출
불가).
· 최초 등록 대리인이 독점계약을 요구할 확률이 높음. 독점계약이 필수는
아님.
○ 요르단 의료기기 유통구조
- 수입업자가 직접 유통을 겸하는 경우가 많음.
- 소비자 반응에 대해 수입업자(유통업자)가 수출업자와 직접 연락해 즉각적 대응
가능
- 중간 유통경로를 최소화해 시장 공급단가 최소화 가능
□ 시사점
○ 요르단 진출을 위해서는 선진국 기준에 맞는 제품 필요
- 관련 정책 및 행정 관행이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중심으로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제품의 질 및 취득 인증이 선진국 기준에 맞추어져 있어야 요르단 시장 진출이 용이함.
- 관련 인증(CE, FDA, FSC 등) 취득이 필수적이며, 인증을 취득한 후에도
미국산, 유럽산과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
○ 유능한 에이전트 발굴이 관건
- 요르단 의료기기 등록 및 판매를 위해서는 현지 에이전트 고용이 필수적이며,
에이전트가 한국 기업의 지사와 같이 초기 시장 진입부터 사후관리까지 거의 모든 일을 담당하기 때문에 진출 희망기업은 유능한 에이전트 발굴이
성패를 좌우한다고 볼 수 있음.
○ 한국산의 경쟁력 및 요르단의 시장 잠재력
- 2014년 기준 요르단 의료기기 수입 5대 품목 중 2개 품목에서 한국이
10위권 수입국에 포함되는 등 한국산은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보임(HS Code 901890,
300590).
- 요르단은 MENA 지역 최대 의료관광 강국이므로, 요르단에서 주로 활용되는
제품은 주변국의 관련 품목 도입에도 파급력을 미칠 수 있음.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