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규모
○ 이란의 화장품 소비시장 규모는 세계 7위
- 화장품과 생활용품 산업의 전망은 전반적인 경제·정치의 영향으로
유동적
- 제재 해제 이후 다국적 기업들의 이란시장 재진입 시도가
증가
-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넓어질 것으로 예상됨.
○ 소비자 구매력은 인플레이션에 의해 결정되는 경향이 높으므로, 대이란 경제제재가
해제됐지만 당분간 높은 인플레이션이 예상됨에 따라 중산층의 값비싼 화장품과 생활용품에 대한 소비 활동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 시장특성 및 동향
○ 소비자 요구에 대한 이해는 매출 상승을 위해 필수적
-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지만, 브랜드 생활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해야 함.
· 대부분의 화장품이 최대 4년의 생활주기를 보유하는 것으로
보임.
○ 소매업자들의 낮은 가격 제시로 소비자들의 접근 가능성 증가
- 소비자의 관심은 여전히 고급 브랜드에 있음.
○ 소비자의 최신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구매에 영향을 미침.
- 최근 소비자들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제품에 관심을 보임.
· 제조업자의 경우 소비 증가에 따라 친환경 인증에 대한 부담감이 증대되고
있음.
○ 세계 최고의 화장품 소비국에 속하는 이란과 이란 여성
- 2015년 20~40대 여성들의 인구는 이란 인구의 약 20%로
추정됨.
- 이란은 중동 여성 화장품 시장 27억 달러 중 12억 달러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
- 15~45세 여성들은 한 달 평균 7달러를 화장품에 소비
○ 남성 화장품 시장의 높은 성장 가능성
- 이란인 남성 화장품 시장은 전체 시장의 12% 수준
- 많은 외국 광고 및 프로모션 활동으로 이란 남성의 남성 화장품에 대한 인식이
많이 상승
· 2004년 초와 2005년 말, L'Or?al 및 P &G 같은 대기업
마케팅 활동이 남성 화장품 업계 성장을 이끈 것으로 보임.
○ 서구 트렌드를 따르고 서구 상품을 선호하는 이란의 젊은 층
- 이란 젊은 세대는 서구 유명 인사들을 이상화하는 경향이
있음.
○ 기대 수명 상승으로 고령층의 화장품 소비활동 증가
- 이란의 고령인구 비율은 매우 높음.
- 50~65세(young senior)의 높은 가처분 소득으로 틈새시장
활성화
□ 진출방안
○ 이란으로 수입되는 모든 화장품은 할랄인증 및 사전등록
필요
○ 규제기관: Iran FDA(Ministry of Health and
Food 산하기관)
○ 할랄 화장품 등록 절차
- MOH 승인과 등록 절차 및 소요기간
① MOH(Ministry of Health)로부터 위생·검역 증명서
취득
② MOH의 제품 승인(*MOH의 승인이 나지 않을 경우, 추가 서류
제출 필요)
③ 제품이 등록되기까지는 일반적으로 7개월에서 1년 정도
소요
|